해조류 양식
5.김 엽록체가 가지는 중요 색소 5가지
클로로필a, 카로틴, 루테인, 피코시아닌, 피코에리드린
7.김의 보상점
①보상점: 300-500
②낮: 광합성에서 생긴 산소와 호흡에 쓰이는 야이
같아지게 되는 광도
③영향: 생명만 유지되고, 생장은 하지 않는다.
8.하구 부근에 김 양식장이 많은 이유
①강물에 의한 충분한 영양염 공급
②수온의 저하
③넓은 간석지 형성
9.김 노출의 생리적 의의
①노출에 따른 삼투압 변화가 2차아의 효율적 방출에 도움
②김에 해를 주는 파래, 규조 등의 제거
③붉은 갯병의 예방
10.해수 유통이 김에 주는 영향
①영양염 및 이산화탄소 공급
②대사 노폐물의 제거
③미세한 부니 부착 방지 ④활발한 대사작용 유지
11.김 퇴색 현상 원인
*김의 색소인 클로로필a와 피로에리드린 양이 적고
전 질소량과 단백질 함량이 적기 때문
*질소원 최적 농도 → 질산태질소 No로 10-30
12.김 조가비 사상체 배양장 조건
①조도, 농도의 변화가 적은 북향건물
②창문을 많이 낸다.
③직사광선을 막는다.
④통풍이 잘되게 한다.
13.철판 산화도법 [15℃,24시간 감량]
80㎎이하 →어장가치 없다.
100㎎이상 →가치 있다.
150㎎이상 →좋은 어장
14.과포자액 만드는법 [12-3월]
①충분히 성숙한 엽체 [20g /상자]를 물기를 짜내고,
발위에 펼쳐 12-24시간 음건
②다음날 아침에 200g /ℓ의 비율로 해수에 담근다.
③되도록 밝은곳에 두고 저어주면 과포자 방출
④엽체를 들어내고 가아제로 걸러 깨끗한 과포자액을
만든다.
15.과포자 잠입 확인 방법
①과포자 투입후 5-6일째 현미경 100배 시야로 2,3개
정도 보이면 충분
②말라카이트 그린 0,2% 수용액으로 1분이상 염색한후,
해부 현미경 30-50배로 관찰하면 잠입한 부분은청색으로염색
③확인후 처리 →빨리 물을 갈아주고, 조가비를 닦아 준다.
16.조가비 사상체 배양법
①물갈이:1개월 1회
②비중:1.020-1.025
③수온과 조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 변화
17.사상체 관찰법
[탈회법]
①사상체 조가비를 1-1.5㎠크기로 쪼갠다.
②불순물을 씻어 낸다.
③시험관에 조가비를 넣는다.
④페레니액(5%질산[4], 0.5%크롬산[3], 95%알코올[3])
⑤최소 10-20분후,물로씻는다.
⑥칼끝으로 사상체 잠입면을 긁어서 얇은 막을 벗긴다.
⑦얇은막을 rjarud
[연마법]
①조가비를 쪼개서 얇은 소편으로 만든다.
②소편을 눌러 문질러서 얇게 만든다.
③물에 씻은후, 메틸렌 블루로 염색 rjarud
18) 사상체 발육 촉진법
①이유: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지 않으면 포자낭을
형성하지않기
때문
②발육촉진법: 밤에도 형광등으로 조명
조도
500lux(20w 형광등 2개 높이 50cm)로
3.3㎠에
쬐어 영양 생장시킨다.
19) 사상체 각포자 방출 억제법
①고비중 처리: 비중 1.040-1.050 [10일간]
②100%습도처리: 조가비를 해수에서 들어내고,
젖은채로 용기 속에 겹쳐놓고, 뚜겅을 통해
건조되지 않게 한다.
③암흑처리: 광선을 완전차단
20) 사상체 각포자 형성 억제법
①온도 처리: 수온 27- 28℃에서 배양
②연속명기처리: 밤에도 조명해 암기를 주지 않는다.
③냉장처리: 0-5℃로 얼지 않을 정도이유
21) 사상체 각포자 방출 촉진법
①저온처리(가장확실): 채묘예정일의 7-8일전에 10-20℃로
저온 처리
②단일처리: 채묘1주일 전부터 명기8시간, 암기16시간 처리
③물갈이 처리: 채묘전 해수를 1,2일마다 갈아준다.
22) 무기질 사상체 배양액
증류수 1ℓ, 질산칼륨 8g, 인산칼륨 1g, Fe-EDTA 0.3g
23) 무기질 사상체 배양의 잇점
①노력이 적게 든다.
②매년 과포자를 구할 필요가 없다.
③선발 육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④넓은 장소가 필요하지 않는다.
⑤관리가 쉽고 경제적이다.
⑥규조 및 병의 침범이 적다.
⑦채묘 시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25) 무기질 사상체 과포자 받기,배양
·500cc 비이커 2-3개를 준비해 바닥에 슬라이드 글라스를
깔고 여과해수 4㎝정도 채운다.
↓
·세척한 김포자 투입(뚜껑을 닫는다)
↓
·2주일 후 슬라이드 글라스에 반점이 생기거나 전면이 흑색
↓
·1개월 후 사상체를 긁어서 배양액 80cc정도든 200cc삼각
플라스크에 옮긴다.
↓
·수온 18-25℃, 장일 조건 (1일 13-14시간 명기)으로
사상체를 계속 증식, 이식 배양
26)무기질 사상체 이식법
①가정용 분쇄기로 잘게 간다
②사상체 가지가 3-5개 정도 될 때까지 분쇄
③사상체 1g당 조가비 250-300매 기준 이식
④사상체액을물뿌리개에넣어서조가비위에골고루뿌린다
27)무기질 사상체 후기 배양법
①성숙전 배양: 전기에 고온, 장일하 배양에서 5개월이후부터
매일
수회 병을 흔들어 준다.
②성숙후 배양: 채묘 30-40일전 분산시켜 각포자 형성 준비를
시킨다.분산한지
30-40일후 15-20℃ 저온처리
하면
3,4일후 방출되고 6,7일후 정점에 도달
31)봉투식 야외 인공 채묘의 잇점
①큰 봉투 속에서 채묘하므로 효율적 채묘가 된다.
②1회에 대량으로 채묘할 수 있다.
③각포자가 비닐봉투 밖으로 나가지 않으므로 손실이 없다.
④각포자가 균일하게 붙는다.
⑤각포자의 부착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⑥파래나 돌말류와 같은 해적 생물이 적게 붙는다.
32)봉투식 채묘방법
①사상체 주머니 제지
⇒그물눈 크기가 1㎝인
그물(18m×1.2m)두장을 겹쳐
길이 50-60칸
폭3-4칸이 되도록 꿰매면 한칸이 약30㎠가
되고 150-240개의
칸이 생긴다.
② 이 주머니 칸마다 그물을 조금 찢어 3-4개의 조가비를
넣는다.
③대나무나 PVC관으로 길이 18m×폭1.2m의 틀을 만들고
쳐지지
않게 중간에 사잇대를걸쳐 놓는다.
④이 틀위에 사상체 주머니를 놓고 다시 그물발 20-30장을겹친다.
⑤채묘는 앞서 제작한 것을 다함께 비닐봉투 (20×1.5)에
넣고
양끝과 중간 약 5개조에 통대를 대고, 아래위로
묶어 봉한다.
⑥물위에 잘 뜨도록 통대에 뜸을 달아 설치
35)무기질 사상체에 의한 봉투식 채묘요령
①사상체액
·채묘 7일전 저온처리
·3,4일후 → 10초간 사상체 세단
·찬 해수를 이용: 사상체를 희석
채묘에 사용
②사용량
·그물발 1매당 5-7g 사용
③채묘
·균일하게 조금씩 봉투 속에
넣는다.
·파도에 흔들리면서 포자액이
교반되어 2,3일 지나면
각포자가 발에 붙는다.
36)실내 채묘 전제 조건 3가지
①각포자의 방출량이나 방출일자를 조절
②방출된 각포자를 빠르고 고르게 부착
③부착한 각포자가 제대로 받아 되도록 관리
38)김 채묘후 발아 관리요령(건묘)
①1㎜이하: 무노출
②수조 채묘에서는 1일후, 야외 채묘에서는 4,5일후 노출
③합성섬유 그물발 5시간, 대발 5.5시간 노출
40)김발이 갖춰야 할조건
①김포자의 부착과 발아가 잘 될 것
②노출시에 빨리 말라서 해적 생물 발아에 부적당할 것
③포자와 기질이 접촉하고 기회가 많을 것
④표면에 접하고 물의 각도가 작을 것
⑤물의 흡수율이 클 것
⑥재료의 표면에 요철이나 구멍이 많을 것
41)조석에따른 김발관리요령
①소조때
·조류소통이 나쁘고, 영양염
공급이나 기계적 자극이
적고, 노폐물 운반
상태가 나빠 김성장에 분리하므로
김발을 높여 단련시킨다.
②대조때
·조류소통이 좋으므로 김발을
낮춰 성장시킨다.
42)봄에 12-13℃때 김양식장이 끝나는 이유
①수온상승
②병원균 번식
③갯병피해
④영양염 부족
⑤김자체의 생리적 약화
45)내장발 입고 요령
①입고시기: 채묘후-12웖(갯병예방목적)
②수온:13-18℃
③크기:10-30cmㅁ정도의 싹300개체/cm
*냉장발의 장점
1.초기 김 갯병의 피해 극복
2.양식 기간의 연장
3.해적 생물의 구제
4.생산력 증가
46)냉장발 냉장 요령
①건조(되도록 짧은시간)
·냉장전에
함수율 20-40%되도록 건조
요령은
맑게 개고 바람이 있고, 썰물때의 한낮에
김발이
말목에 설치된 그대로 한다.
②밀봉
·과도한 건조방지,
CO2에 의한 호흡 억제의 효과를
보며
적당히 넣고, 공기가 들어있어 다소 부푼
정도로
해서 밀봉
③저장온도 및 기간
·냉장전 -20℃∼-30℃에서
10시간 전후 급속동결
·급랭된 씨발을
-15∼-25℃에 내장보관
·생진율은
81일후 90∼95%, 312일후 80%이다.
47)냉장발 출고후 처리
·출고후 4시간
이내에 발설치
·봉지에서
꺼낸 뒤, 겹쳐진 그대로 해수에 담가
불리한
뒤 펼쳐서 설치
48)냉장발 발설치 시기 및 관리요령
①시기 → 12월이후 (어장 생태회복)
②관리: *1월중,하순 → 저온기때 야간노출
주의
*3월이후
어기막에 냉장발 사용해 어기 연장
*뜬
흘림발에 주로사용
49)뜬 흘림발의 전제조건 2가지
①포자가 충분히 붙는 발사용
②파래, 규조등의 착생 생물이 부착할 수 없을
정도로
싹이 가능한 충분히 자란발 사용
50)뜬 흘림발 3가지 설치방법과 특색
①사다리식 *풍파가 적은 내만 사용
*개개인이
소규모 가능
*작업이
간편
②연구조식: 발의 내파성을 높인 것
③강관식: 막대한 자금 소요되나 반영구적
(조류가
빠른 것)
51)뜬 흘림발의 저질에 다른 시설고정
①암반 → 콘크리트 블록이나 멍
②무른저질 → 닻손이 넓고, 각도가 작은 쇠닻
16-20㎏
③여문저질 → 닻손이 좁고, 길며, 각도가
큰 쇠닻16-20㎏
53)김제조 과정
★ 양식김 → 김뜯기 → 세단 → 현탁 → 초제
→
탈수 → 건조 → 김떼기
→ 결속 → 마른김
[김 사상체 병해]
78) 녹변병(생리적 장애)
①시기:4-6(8)
②원인:광선과 온도의 불균형에서 오는 영양염
부족
③증상:조가비가 전면적으로 황녹색 → 백색
→ 사멸
④치료:영양제 첨가, 광선을 조금 어둡게
79) 닭살
①과포자가 놈밀하게 잠입하고 검게 잘자란
사상체
②원인:탄산칼슘이 조가비 표면에 침착(각포자가
방출 지검)
③증상:조가비 표면이 까실까실하고 광택이
없어짐
④치료:비중 1.020 이하로 낮추고 물갈이
⑤예방:물갈이, 담수보충, 청소, 광선 조절은
잘 해준다.
80) 적변병
①시기:4-6월
②원인:어둡고 통풍이 나쁜 배양장에서 발생
③증상:병반부가 적갈색, 오렌지색으로 변하고,
조가비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부정형으로 나타남
④치료
a.해수에 넣은
채로 직사광선 20-30분간 쬔다.
b.물을 새로
갈고 밝게 해준다.
c.담수에 1-2일
담근다.
d.배양수에
차아염소산 나트륨 5ppm넣어 밝은곳에서 배양
⑤예방
a.어둡지않고,
통풍이 좋도록 배양장 유지
b.물갈이후,
차아 염소산 나트륨 1-5ppm소독
c.수하식의
경우 수하면의 수조 밑바닥에 닿지않게
81) 녹반병
①시기: 6-8月
②증상: 녹색의 반점
③치료: 물갈이 직사광선
82) 백반병
①증상: 건전한 사상체가 죽어 불규칙한 환무늬
②발병: 전체가 다소 연하게 , 검게 보이는
사상체가 많다.
③치료: 물갈이 직사광선
83) 황반병 ⇒ 가장 무서운 병
①시기: 6-8월
②원인: 호염성 세균에 의한 것
▶ 2차요인·조가비가
새까맣게 될 정도로 무성
·고수온,
고염분
·조가비의
불순물(조갯살등)의 부태로인한
수질
변화
③증상
*초기: 작은 황색의
반점 → 확대되며, 황색 → 녹색
→
희게됨,병반부와 건전부 사이는 적갈색
④치료
·초기의
것. 병반부에 붓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의
원액을
발라 변색하면 곧 해수에 넣는다.
·보통
1주야 담수에 담가 병반부가 황반색이 되면
배양
해수에 넣는다.
·병든
조가비만 골라 직사광선에 10-20분 쬔다.
·그후
배양 해수는 차아 염소산으로 소독한 것,
1주일
묵힌 해수를 쓴다.
·그
밖에 비중 5-10정도의 물에 황색이 없어질 때까지
밝게
배양하고 마이신 10만 단위 ,1/5000을 준다.
⑤예방
·직사광선이
비쳐 지나치게 밝지 않게
·수온이
너무 오르지 않게
·비중은
20이하로 유지
·미리
마이신 1/10000 ∼ 1/2000을 준다.
76) 조가비 사상체 물갈이시 유의점
①비온후 풍파가 심했던 후의 저비중, 흐린해수
물갈이 금지
②대조시 밀물의 맑은 해수(클로르칼크,차아염소산으로
살균)
③비중을 유지
④깨끗하고 부드러운 헝겊으로 조가비 닦아줌
⑤병치료로 인한 약품 처리후 물갈이
⑥비료주기도 한다.
77)김 양식장 환경조건
①최적수온: 5-8℃ 기간이 긴 양식장
②비중: 1.020-1,024사이
③유속: 20㎝/sec이상
④영양염류: 100μg/ℓ이상
⑤DO: 90%내외
⑥COD: 3ppm이하
84)파래의 구제법
①채묘 초기: 5-6시간 고노출선에 며칠간
② ·1-2㎝: 발을 육상으로 옮겨 24-48시간
건조
·비, 이슬, 서리에 주의
·바람이 있고, 습기 적은날
실시
·건조 처리후 무노출 상태로
1-2일 두었다 본 발 높이
(과다한 노출에
특히주의)
③파래나 김이 3㎝이상: 하나하나 듣어낸다.(건조효과
없다.)
④단기간 생장
85) 규조류 피해 예방과 대책
①양식장 정리에 의한 원활한 조류소통과 일식
방지
②9-10월에 강우량이 많을 때 김발을 조금높게
③덮발에 의해 채묘할 때는 발의 수를 적게
④채묘기에 규조가 많이 붙으면 발을 30㎝
높여주면 정도에
따라 비로 쓸어 주거나 펌프로
세척
⑤규조가 많은 김을 제품화
·보자기에
넣어 밟아준다
·0.2% 탄산나트륨(Na2Co3)용액에
10-30분간 처리
·고속 탈수기로
50-70%되게 수분 탈수후, 하루쯤냉장
87) 질소 결핍된 김
①검,붉은 색이 감소되어 황갈색이 되고 더욱
결핍되면 연한
홍말색이 되어 성장이 잘 안된다.
②세포막이 뚜렷이 두텁게 보이고, 원형을
감소하여 액포를
대부분을 차지
③고염분의 어장에서 중.후기에 질소결핍이
보통
88) 뜬흘림발의 병해
①흰갯병 → 가장피해 크다.
·조건:
늦가을 - 겨울,발이 수면에서 15-20㎝가라
앉거나
김이 발보다 위에 떠있는 경우
·방제:
양식장 선정시 조류가 어느정도 빠르고,풍파가
잘 일어나고,늦가을
- 겨울 발이 물속에 담기지 않게한다.
②붉은갯병
a.원인:무노출,
수온상승, 고수온의 계속, 염분저하,
품질이
좋고, 잘자란 김에 많다.
b.방제책:만연이
우려되면 김을 빨리 채취, 채취후 김발을
씨발
양성장에 높이 설치하거나 냉장
김의 병해[생리적 갯병]
93) 흰갯병
①시기: 11-12월
②증상: 엽체의 광택이 좋지않고, 끝에서부터 적색
수중에서는
쇠녹색이
되다가 결국 희게된다.
③환경 ·11-12워, 낮 썰물이 있는 수위가 높은 시기
·노출이
불충분, 광선이 부족한경
94) 의사 흰갯병
·병세 악화에 세균이 관여
·3-4㎝이상 성장후 발병
[의사 흰갯병] [흰갯병]
·발높이 와는 관계 없다. ·발높이가
낮은 발에
·성엽 및 유아기가지 감염 ·웃자란
성엽
·전염성이 있다. ·전염성
없다
·발을 과다하게 설치시 ·밀식이
아니라도 발병
95) 싹갯병
①시기: 가을에 싹이 1-2㎝이하에서 생김
②증상: 붉은색이 많아지고, 광택이 저하, 탈락,
유실
③원인:· 외양수의 영향이 강한 고염분
· 물이
정체하기 쉬운 오목한 곳에 잘 생긴다.
[김의 병해]
89) 붉은갯병
①원인균: 조균류(PorPhyrae)기생
②증상
·붉은 쇠녹색 반점
→ 내부 청녹, 담황색, 둘레는 붉은색
·현미경 → 균사가
세포를 뚫고 종횡으로 뻗어가고 김세포
죽어서
수축
③발생환경
·11-12월에 발생,
초봄에 다시 밀생
·수온 12-15℃로
상승 10℃ 날씨가 온화하고 바람이 없을 때,
발의노출이
적을 때
·하천수의 유입이
많거나 큰비 뒤 염분이 낮을 때
90) 호상균병
①원인균: 조균류(호상균 Opidiopsis)기생
②증상
·초기:해수에 잠겨
있을 때 붉은 색을 띠고, 광택이 없어보임
·엽체 끝이 담록색,
황박색으로 변함 → 전체가 녹박색
·현미경:엽록체
사이에서 무색의 구상으로 보임
③발생환경
·15-20℃ 성장적온,
5℃전후의 저수온에서 억제
·11-12월
·노출이나 동결에
강한다.
④그 피해가 커지기 전에 채취
♠ 호상균병 징후
·엽체의
이상형태, 세포내용의 이상
·세포
배열의 다충화
·흰갯병과
의사흰갯병 전후
91) 사상 세균 부칙증
①원인균: 사상 세균의 일종
②증상: ·엽체는 생장이 좋지 않고, 퇴색하여
조숙
·심하면
몁체 전체가 쪼그라들고 가장자리부터 허물 어짐
③환경: 풍량이 적은 내만 안쪽이나 하구어장
92) 녹반병 및 구멍갯병
·세균과 관련
·저염분 및 염분발병
·녹변부 오래 지속
·저염분하, 기계적인 자극
·원형의 병든 부분 빨리 하고, 작은
구멍이 많다.
[미역]
55)북방형 미역과 남방형 미역 비교
①북방형 미역
·줄기가 길다.
·포자옆의
주름수가 많고, 두텁다.
·우상옆의
열각이 깊다.
·파랑, 조류가
심한곳에 분포
·밀생한 미역
②남방형 미역
·줄기가 짧다.
·포자옆의
주름수가 적다.
·우상옆의
열각이 얕다.
·얕은곳에
분포
56)미역 채묘시 포자옆 준비
①포자옆 준비
·다갈색∼흑갈색
→ 가장자리의 색이 같고
부드러우며
점액이 많은 성숙한 포자옆
·두텁고 큰
포자옆
·포자옆은
채취한 즉시 해수로 씻은후,
직사광선을
주의, 운반
②그늘 말리기
·목적: 포자옆을
공기중에 둠으로써 유주자
축척되게
하여 채묘때
대량방출
유지
③포자옆 소요량
·씨를 만m당
30-50㎏
·포자액 1방울에
×100시야 유주자 수가
30-50개
정도
57)미역 채묘순서
①채묘통에 깨끗한 여과해수를 채운다.
②준비된 포자옆을 넣고 저어준다.
③5분쯤 지나면 유주자가 방출되어 황, 다갈색으로 변한다.
④20-30분후 포자옆을 들어내고 씨줄틀을 넣어준다.
⑤30-40분후 다른 수조로 씨줄틀을 옮긴다.
58)미역종묘배양
①초기배양
·암 배우체 3개, 수 배우체 10개 세포 이하로 성장,억제시킨다.
·수온조도: 배양시작(17-20℃)[5000∼6000ℓuX] →19-20℃
[4000∼3000/uX]
·비중: 1.022∼1.024
·물갈이: 채묘 1주일후 물갈이하고, 이후로 7-10일에1회
·비료주기: 물갈이후해수1ℓ에질산나트륨 0.1g,제2인산나트륨0.02g
②중기배양(휴연기)→23℃이하유지
·수온과조도: 23℃, 1000/uX → 25℃이상 500-200/uX
·비중: 1.022∼1.024
·물갈이: 10-14일에1회
③말기배양
·수온과조도:24℃[1000/uX]→24∼23℃[2000∼3000/uX]→20℃
[5000∼7000/uX]
·비중: 1.022∼1.024
·물갈이: 초기에는4,5일1회,후기에는2,3일1회 유수식으로한다.
59) 가이식의 필요성
①아포체가 육안적 크기로 될 때까지는 가이식 한 것의 성장
본양성보다 빠르다
②부니와 잡새을 제거 작업 및 싸녹음 예방을 위한 대퇴작업 용이
③배우체가 성숙수정이계속되기때문에배우체에밀접있는것이유리
④어미줄에 감는 작업을 할 때 부주의로 종묘가 손생될 우려 방지
60) 가이식 시기
①수온상의로 본 적기
·내만: 22-23℃이하에서
시작해 20℃전후
·외해: 17-18℃
②아포체 크기로 본 적기
·400-500μ아포체
·2㎜정도의
유형
③싹녹음 대책상으로 본 시기: 11월
하순 이후 가이식
④조석상의로 본시기
·소조 직후
가이식하여 다음 소조때까지 충분히 성장시킨다.
61) 싹녹음 원인
①수온이 높은 투명한 외양수의 침입
②적조 침해
③해수유동이 적고, 정체되어 투명도가
높은 소조때
62) 가이식 적지
①싹녹음의 피해를 적게 많은곳
②조류소통이 좋고 잡생물 부착이 적은곳
③해안선 가까이 투명도가 낮고, 수온
변동이 적은곳
④외양수 영향이 강하지 않는곳
63) 가이식 방법
①연승식 본양성 시설에 채묘들을 매단다.
②채묘틀이 매달리는 수심은 처음에는
5m차차 높여주며
7-10일후 수심 1-1.5m유지
64) 미역 양성 시설 3가지
①뗏목식: 조용한내만
②연승식: 풍파가 심하고 외해에 면한곳
③조립연승식: 뗏목식 + 연승식
66) 수온상의로 본 끝녹음 시기
①3월 중순끼리: 생장 > 끝녹음
②3월 하순: 생장 = 끝녹음(13℃-14℃)
③ ∼ 이후: 끝녹음 > 생장(15℃이상)
67) 미역 수확방법
①양성기간이 짧은곳 (15℃이하 기간 짧은곳)
종묘가 드문 경우나 밀식 되었더라도
충분히 자라면
일제 수확
②양성기간이 긴곳
·밀식된 미역은
속음 채취
·종묘가 드물때는
잎자르기 수확
(15℃이하가
30-40일 계속될 것을 전제)
98)미역 양성장
①15도 이하의 기간이 긴 외양쪽에 유리
②비중:1.020-1.025
③영양염:부영양 상태의 내만수와 외양수 혼합되는곳
④조류:내만.연안의 유속에선 빠를수록 좋다.
⑤수심:10m이상 되는곳
102)미역 종묘 배양관리
①(씨줄에 붙은 유주자가 발아하여 배웇로 자라는 시기)
* 수온에 따라 조도를 2000∼5000lux 조절
* 채묘 일주일 후 물갈이
* 성장억제 : 휴면기에 배우체 탈락 방지
배우체 세포수가 ♀배우체 : 3∼4개
배우체 세포수가 ♂배우체 : 12∼13개 일 때
성장 억제
② 중기 (고수온에서 휴면)
* 23℃이상 되지 않게 주의→통풍
* 조도 : 1000lux 이하 조절
* 물갈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씨줄 붙이는 방법]
① 씨줄감기
(장점) * 미역이 고르게 자란다.
* 작업중 아포체, 유엽 소실이
적다.
* 작업능률이 좋다.
(단점) * 어미를 밀착으로 아포체 성장 장해
* 씨줄 많이 소요
※ 등을 따라 감으면 씨줄이 어미줄에
밀착이 좋지
않고, 부니나 규조류에
의한 피해를 적게 받는다.
② 시줄 끼우기
* 씨줄에 종묘가 드문 경우 → 어미줄의 전 길이에
걸쳐 감는다.
* 씨줄에종묘가 밀생시→적당한간격으로감거나끼우기
※ 주의 사항
① 직사광선 피할 것
② 건조주의, 손으로 만지지 말 것
③ 어미줄은 작업 2,3일 전 해수에 넣어 충분히 느린뒤에 사용
[다시마]
68) 다시마 종묘 억제 배양법
①채묘
·봄에 엽장이 최대기에
있고, 포자 나반이 엽면적의
10%이상되는
묘조사용
·그늘 말리기 24시간 이상
또는 48시간
·묘조를 해수에 담근후
20-30분후 방출
·미역에 비해 포자 발아율이
4배이므로 부착밀도 조절
②배우체
육성
·18℃채묘해 15℃로 수온 저하 유지시켜 2주일 배양(5000lux)
·2주일후 700-800lux로제한해서 월하관리
·9월 중순부터 발아관리 → 300ℓ/h 으로 물갈이 낮의
수면조도
700lux로 60일간 0.5-1m 아포체 성장
·비와 수온 18℃이하인 11월 중순이후 본양성
69) 촉성 배양법
①9월초 채묘
②온도 15-16℃
③조도: 배양초 2000lux, 1주일후 4000lux
2주일후
6000lux로 1일 12-18시간 조명
④통기: 이산화탄소 급증 및 배양해수 부태
방지
영양염
균일화 목적으로 채묘 2-3일후 실시
⑤투명한 수조에서 배양액을 배양개시 20일후
전량
그후 1주일마다 1/2교체
⑥배양 45일만에 본양성 가능한 5-10㎜ 크기
생산
70) 다시마 양성법
①2면 양식(저수온 지역)
·인공 또는 천연 채묘에 의해 종묘를 육성하여 솎음 (뿌리 묶기)
*잡물제거 둥의 관리로 2년 양식후 채취(가을 채묘,여름수확)
②촉성양식
·품질이 좋은 참다시마 대량 양식
·인공채묘하여 수온, 조도를 조절하면서 배양액속에서 45일간
수조배양,수조내에서 재생산을 마치게하여 바다 수온이
하강하고 시기에 이식, 양성한다.
③억제 배양 방식
·5,6월에 인공 채묘한 배우체를 고수온기에 억제 배양했다가
9,10월에 발아 관리하여 바다수온 18℃이하 본양성
71) 다시마 양식 시설
①미역과 비슷한 중층 수평 외줄식이 적당
②조류가 다소 빠른곳에 시설
③수심 5-10m 정도에 시설
④어미줄 1m에 20-30㎏ 25-50개체에 장력이 걸리므로튼튼하게시설
99)다시마 양성관리
①솎음. 잡해조 제거
*솎음 1월초부터 몇차레에 나누어
4.5월경 25-50개체
②뿌리묶기, 보충이식:4.5월경까지 마치도록 한다
③양성수심조절
*3월까지:수면하1m
*4.5월: "
1.5m
*6.7월: "
2-2.5m
*8월 : "
3-3.5m
[홑파래의 양식 계획]
73) 홑파래의 접합자 받기
①모조를 여과 해수로 깨끗이 한후 그늘 말리기
②다음날 아침 밝은 참가 또는 형광등(8000lux)아래에서
해수가 수조에 해수 10ℓ에 모조 생중량 20g을 넣어
배우자 방출
③+주광성이므로 광선 쪽에서 받아
④접합자는 - 주광성이므로 아래로 모인다.
⑤접합자액 수조에 검은 비닐막 설치, 채묘기 투입
74)접합자 배양
①수온: 저수온기(18-22℃)는 광선을 충분히
주어 생장 촉진
고수온기(25℃이상)은
약광하에서 휴면시킴
②비중: 1.022-1.025
③물갈이: 여과 해수로 매월1회 전량 또는
절반을 갈아준다.
④성장: 8월 중순까지 60-80μ성장
75) 유주자 받기
①유주자액 만들기
·해수1ℓ에
유주자수 50-60만개의 짙은 유주자액을 채묘
수조(0.3t)의
깨끗한 해수에 혼합, 희석한다.
②·크레모나 그물발을 4,5분 간격으로 채묘수조에
넣었다,
빼었다하면서 채묘
·첫회 15분간 2회째 20분간 3회째
20-30분간 채묘가 가능해
도합60매 채묘 가능
③채묘후 관리
·부착후 12시간 이상되면 단시간 노출에도
견딘다.
따라서 채묘후 하루밤 해수에 담가두었다가
다음날 양식장에 설치
47.수생균의 방지
*잉어:
수정 2∼3일 후 말라카이트 그린을 0.3ppm이 되게 부화지에 녹여준다.
*송어:
수정 2∼3일 후부터 3∼4일 에 한번씩 말라카이트 그린 1/20만∼1/30만
농도로 주입수에 1시간 동안 녹여 준다.
*채널메기:1/600농도의 포르말린으로 15분간 처리
49.물이의 구제 방법
@ 예방:*봄철에 양어지의 물을 빼고, 수산화칼슘이나 클로크칼크를
등으로 소독한다
음 햇 볕에 말린다.
@ 구제:*DDVP유제나 마조텐이 유효하다. 0.6ppm농도로 살포하고
약 1주일 간격으로
4∼5회 반복한다.
52.빵효모로 배양한 윤충류를 먹이면 어류의
자치어의 사망률이 높다.
사망률을 줄일수 있는 방법을 쓰시오.
*빵효모에는 필수지방산이 부족하기 때문에 빵효모로 키운 로티퍼는
영양성이 부족하게 되어 먹이로 사용할 경우 사망률이 높아진다.
*클로렐라나유지효모로영양강화하여먹이로사용하면 사망률을 낮출수 있다.
53.효모의 영양성을 쓰시오.
*사료효모: 수용성 비타민, UGF원, 단백질 성분 40% 함유
*맥주효모: 수용성 비타민, UGF원
54.사료 필수성분 4가지를 쓰시오.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염류
55.점착제의 종류.
*셀룰로오스, CMC, 가검, 알기네이트
*밀가루, 전분, 유장
58.인공사료(배합사료)의 장점 5가지
*관리와 공급이 쉽고, 사료공급기에 의한 공급이 가능하다.
*상온(20∼25℃)에서 3개월간 보관이 가능하다.
*사료의 공급과 가격이 안정적이다.
*공급량과 투어방법을 조절하여 생산량을 조절해 나갈수 있다.
*사료공급을 적당히 함으로서 질병발생을 줄일수 있다.
59.건조사료의 장점 3가지.
*어체에 필요한 영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수분함량이 적어 제작, 공정, 보관에 경제적이다.
*자동 사료 공급기에의한 사료공급이 쉽다.
60.MP사료(습사료, 반죽사료)의 제조 방법과 장점.
*적당한 수분이 함유되어 있고, 생사료가 혼합되어 있어 건조사료를
먹지 않는 어류에게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낸다.
*영양의 균형을 맞추기가 용이하고, 비타민, 광물질 및 약제의
혼합이 용이하다.
*점착제의 사용으로 물속에서 허실이 적고, 허실로 인한 수질의
오염도 적다.
*어체의 크기에 따라서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취급이
간편하다.
*생사료에 비하여 수분함량이 적으므로 먹는 양이 줄어들고,
공급시간과 작업량도 줄어든다.
*사료의 보존성이 높다.
*냉동사료의 해빙시 유츌되는 영양분을 모두 흡수하여 영양성분의
유실이 적고,어류의 성장률도 높다.
61.배합사료의 필수 성분 5가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염류
68.암모니아의 형태와 독성
*이온화 되지않은 암모니아와 이온화된 암모니아 두종류가 있다.
*독성은 이온화 되지않은 암모니아가 더 강하고, pH가 1증가하면
이온화 되지않은 암모니아의 양은 10배 증가한다.용존산소가
증가하면 독성은 감소하고, 수온이 높아지면 독성이 증가한다.
69.질산화 과정
*암모니아(NH3→NH4+)--산화-→아질산(NO2-)--산화-→질산(NO3)
↑
↑
아질산세균
질산세균
70.적조의 예방 대책
*식물플랑크톤이 일시적으로 대량번식, 집적되어 물의 색이 변하는 형상
*원인:주원인은 수역의 부영양화 기타원인으로 물의 정체, 일사량의
증가, 수온의 상승, 육수의 유입으로 인한 염분농도의 저하, 빈산소
수괴의 용출 등이 있다.
*대책:
수역의 오염을 방지하고,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질소,
인등의
양을 감소시켜 오염의 부하량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적조생물:
Gymnodinium sp.
Cochlodinium sp.
Chattonerla sp.
Protogonyaulax sp. 등
*적조 발생 촉진물질:
인, 질소, 철, 망간 등
71.양식장 노화 방지대책
@노화방지 :
*찌꺼기의 양이 자정능력을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
*양식생물의 밀식금지
*조류소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양식장 시설을 설치
@노화대책 :
*양식장의 휴식년제 도입을 통하여 자정능력에 기대
*오염된 저질을 줄설한다.
*해저를 포기 또는 갈아주어 퇴적물의 확산과 분해를 촉진한다.
72.육상 어류양식의 방법 4가지
*지중양식, 육상 수조식 양식, 육상 유수식 양식, 순환여과식
양식
78.순환여과식 사육장치중 사육수 처리 시설의
중요한 4가지 부분은
무엇인가?
*물의 순환용 수로와 펌프
*침전조 또는 찌꺼기 여과 장치
*생물학적 질산화 여과조
*용해 유기물 제거 장치
*기타: 소독장치, 산소보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