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바다 양식
   종전의 양식장보다 훨씬 바깥 바다인 난바다에서 하는 양식. 양식은 파랑이나 바람의 피해를 입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내만에서 실시해 왔으나, 기술 및 자재의 개발과 진보에 따라, 바깥 바다에서도 할 수 있게 되었다. 가리비, 우렁쉥이 및 미역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난질
   인공 종묘 생산 과정에 있어서 자연 채란이나 인공 채란한 알의 좋고 나쁜 것인데, 수정율, 부화율, 자어 생산율이 높은 알은 양질이라고 한다. 난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일은 인공 종묘 생산 효율을 높이는데 반드시 필요하고, 이 때문에 형태학적으로나 이화학적성상으로 그 지표가 정해져 있다. 배란 후 몸 안에 오래 있던 알은 과숙한으로서 난질은 좋지 않다.

낭충병
   백색인 30mm내외인 사문목조충의 유층이 기생해서 일어나는 방어의 질병이다. 많이 기생하면 발육이 나빠지고 폐사하는 일도 있다고 하나, 피해는 크지 않고, 아직 확실치 않은 점이 많다.

내만
   만입한 반폐쇄형인 연안 해역을 일컫는다. 우리 나라에서는 진해만, 거제만, 고성만, 사천만, 가막만, 여자만, 득량만, 천수만 등이 그 전형적인 예가 된다. 영일만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외해에 비교하여 수심이 얕다. 여러 가지 외력에 따라 유동이나 물질의 분포 구조는 복잡하여 시간적으로도 변화가 심하다. 여름에는 하천수의 유입량이 증가하고 해면으로부터 가열에 따라 상층에 성층이 발달하지만, 겨울에는 하천수의 유입량이 감소하고, 해면 냉각에 따라 대류혼합이 발달하기 때문에 위아래층의 해수가 거의 고르게 분포한다. 얕은 내만은 조류가 탁월하지만, 이외에 취송류나 밀도류도 있다.

내만도
   외양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차단된 내만은, 외양과 다른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여러 가지 요소를 갖는다. 내만적 요소의 집적정도 및 양식을 내만도라고 한다. 해황이나 생물적 조건에 따라 강, 중, 약 내만성이라 하여, 저서 동물의 서식량과의 관계는 다음 표와 같다

내만도와 저서 동물의 서식량  

내인 구역
   동물을 어떤 온도에 순화시킨 다음, 저온 또는 고온에다 옮겨 그치사 온도를 조사하면, 고온 치사 온도가 같은 동물이라 하더라도, 저온 치사 온도는 반드시 같지 않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브레트는 고온과 저온과의 치사 온도를 각각 순화  온도로부터의 점을 구하여, 고온의 치사 온도를 연결한 곡선과, 저온의 그것과에 둘러싸인 면적을 평방도로서 나타내어, 이것을 내인 구역이라 부르고, 이 값이 큰 동물 일수록 광온성인 것으로 했다.

내장진균병
   수생균이 기생하는 송어류 치어의 질병이다. 1970년대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 먹이를 먹기 시작한 다음 1∼2주일 된 0.15∼0.30g 되는 치어 때 발생한다. 병든 치어는 행동이 둔해지고, 못 바닥에 옆으로 넘어지거나, 흐름에 떠밀리면서 죽는다. 복강 안에 균사가 번식하고, 외견상 복부가 팽창하고 있는 것이 많다. Sa-prolegnia diclina가 주원인이지만, 다른 균이 검출되는 경우도 있다.

냉수어 양식
일반적으로 15℃이하인 수온을 적온으로 하는 여류를 양식하는 것.

냉장발
   저온인 냉장고에 넣어 보관해 두는 김 종묘를 붙인 씨발을 말한다. 종묘를 붙인 김발을 일정한 수분 함량까지 건조시켜 용기에다 밀봉한 다음 -15∼-25℃ 되는 냉장고 속에 보존한다. 양식장의 김이 병해 때문에 폐사한다거나, 생산이 빨리 끝난 발이 있을 때, 이들을 제거하고 대신 냉장발을 이용하면 생산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병해 대책을 세울 수 있다.

넙치(bastard halibuts, Paralichthys olivaceus)
   몸은 긴 타원형으로 눈은 좌측에 있다. 눈이 있는 쪽의 체색은 갈색 바탕에 유백색인 원형 반문이 흩어져 있고 눈이 없는 쪽의 체색은 백색이다.체장은 체고의 2.5배, 머리 길이의 3.5배가 된다. 크기는 전장이 600㎜에 달한다. 우리 나라 전 연안에 많고 쿠릴, 사할린, 일본 및 중국 연안에 분포하고 겨울에는 깊은 바다로 이동해 가서 살며, 2∼6월경 수온이 15.0℃될 때 20m 전 후인 연해 해저에 산란한다. 저서성 어류로서 조개류, 환형류, 다모류 등을 먹는다. 넙치류의 양식고는 6,733톤이고, 생산량은 2,000톤(1995년)이다.

노우플리우스
   갑각류의 유생. 노우플리우스는 눈 1개, 촉각 2대, 대사 1대를 갖는다. 플랑크톤 중에 많이 나타난다. 몇 번 탈피하여 조에아가 되는데 모양, 크기 등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따개비나 브라인시림프 등의 유생은 어류나 갑각류의 초기 먹이로서 이용된다.

노칼디아증
   방어나 잿방어 등에서 볼 수 있는 병으로서, 방선균류인 노칼디아에 의해 일어난다. 어체의 신장, 비장, 간장등에 백색의 결절이 만들어지고, 체표에는 혹모양의 돌기, 근육에는 버터 모양의 농즙을 갖는 농양이 만들어진다. 감염률이나 피해가 아주 크다. 확실한 치료법은 아직 없다.

녹반병
   김의 유엽이나 성엽에 있어서, 주로 엽체상부에 녹변부는 반원형이고, 내부에는 원형인 선녹색의 병변부가 생기는 병이다.

논양어
   논에서 농사와 함께 물고기를 기르는 것. 논양어를 하는 종류는 틸라피아, 잉어 및 붕어 등이다.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에서는 주요한 양어법의 하나이다. 논양어⇒논잉어 양식

논우렁이
   우리 나라에는 논우렁이 외에 큰논우렁이 및 외국으로부터 이식한 종류 등이 있다. 논우렁이는 몸이 계란형이고, 패각은 엷은 편이다. 나탑은 높고 6층으러 되어 있으며 봉합은 깊다. 각표는 녹갈색인 각피를 갖는데 광택이 있으나, 때로는 점모양의 패인 곳이나 2∼3개의 가는 나늑이 있다. 각고는 60㎜ 내외이다. 우리 나라 논이나 늪등에 널리 분포하고, 겨울철 마른 논에서 월동한다. 태생으로 6∼7월경 채패를 산출한다. 우렁이류의 양식고는 28톤이고,생산량은 7톤이다.

논잉어 양식
   논에다 잉어 종묘를 방양해서 실시하는 양식. 논에서 쌀 외에 잉어도 생산할 수 있어 식량 증산에 알맞은 방법이다. 농약을 많이 쓰는 것에서는 안되지만, 개발 도상국이나 농약의 영향이 없는 곳에서는 할 수 있다.

농어
   몸은 긴 타원형으로 가늘고 긴 편이며, 측편되어 있다. 몸 빛깔은 등쪽이 회청색, 배쪽은 은백색을 띠나 옆구리와 등지느러미에 작고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각지느러미는 짙은 회색이고, 배지느러미는 다른 지느러미 보다 흰 편이다. 비늘은 빗비늘로서 작다. 크기는 만 3년 되면 체장이 450㎜되나 큰 것은 체장이 1000㎜가까이 되는 것도 볼 수 있다. 우리 나라 전 영안에 분포하고, 여름에는 내만의 기수 또는 담수역까지와서 살다가 가을이 되면 바다의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산란기는 11∼4월이며, 산란장은 암초 지대로서 외양수의 영향을 받는 연안이나 만 입구의 수심이 50∼80m되는 깊은 곳이다. 양식고는 193톤이고, 생산량은 925톤이다.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척추 동물의 간뇌의 아래쪽에 있는 뇌하수체는 전, 중, 후엽의 3부로 구성되고, 각각 고유의 기능을 갖는 몇종의 호르몬을 분비한다. 전엽으로부터 나오는 것은 성장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생식선 자극 호르몬, 최유 호르몬,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 등이다 .전엽 호르몬이 생식선을 자극해서 그 성숙이 촉진되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어류의 인공 종묘 생산을 한다. 미꾸리, 초어, 백련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능성어
   몸은 긴 타원형으로 측편되어 있다. 입은 크고, 아래턱이 뒷턱보다 돌출 되어 있다. 몸 빛깔은 자색을 띤 연한 회갈색으로 옆구리에는 7줄의 흑갈색 가로띠가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뒤끝 가장자리는 둥글다. 체장은 900㎜ 내외이다. 우리 나라 남해안에 분포하고, 수심이 5∼60m되는 해조류가 많은 암초 바닥에 주로 서식한다. 산란기는 5월이다. 치어는 주로 해조류가 무성한 곳이나 조수웅덩이에서 지낸다. 양식고는 2톤이고, 생산량은 38톤(1995년)이다.